[CentOS 5.8] 사용자계정 관리하기
우분투(Ubuntu)의 경우에는 주로 일반사용자에서 'sudo'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
일시적으로 관리자의 권한을 얻어서 사용하는 반면,
CentOS는 루트계정과 일반사용자계정을 따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편이기 때문에
처음에는 좀 낯설 수 있습니다.
아무래도 CentOS와 같은 방식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겠습니다만,
처음 리눅스를 접하는 분들에게는 조금 헷갈리거나 어려울 수 있습니다.
그럼 CentOS에서 일반사용자계정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계속되는 CentOS 포스팅과 마찬가지로
페도라(fedora) 등 레드햇(redhat) 계열의 리눅스에선 같은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고요,
우분투에서도 조금 차이가 있긴 하지만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계정 추가하기
사용자계정의 추가는 'useradd' 명령어로 할 수 있습니다.
우선 '$ su -' 명령어로 루트 계정으로 사용자를 바꾸고,
제대로 추가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'/etc/passwd' 파일을 확인합니다.
위와 같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계정의 암호 설정하기
사용자계정의 암호는 'passwd' 명령어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계정에 암호가 설정되었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위에서 확인해보면 'deviantcj'계정에는 복잡한 문자가 추가되어 있지만,
'test1' 계정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것은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뜻입니다.
이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암호를 설정합니다.
Changing passwd for user test1.
New UNIX password: 새로운 암호
Retype new UNIX password: '새로운 암호' 재확인
다시 '/etc/shadow'파일을 확인해서 추가되었는지 확인합니다.
암호가 추가되어 복잡한 문자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계정 설정 변경하기
사용자계정의 설정은 'usermod'라는 명령어를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.
간단히 두가지 옵션 정도만 확인해보죠.
comment 변경하기
우선 'usermod -c'를 통해서 문구(comment)를 바꿔보겠습니다.
우선 아래의 명령어로 현재의 comment를 확인합니다.
그럼 위에 표시된 것처럼 test1이란 사용자의 commnet가
'test1'로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것을 'testaccount'로 바꾸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이제 다시 '# cat /etc/passwd | grep 사용자명(test1)'을 입력하면
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홈디렉토리 변경하기
이번엔 'usermod -d'를 통해서 홈디렉토리를 변경해보겠습니다.
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아래의 명령어로 현재 홈디렉토리를 확인합니다.
위에서 '/home/test1'이라고 표시된 부분이 현재 사용자(test1)의 홈디렉토리입니다.
이제 새롭게 홈디렉토리로 만들 디렉토리를 만듭니다.
사용자(test1)의 홈디렉토리를 바꿉니다.
다시 '# cat /etc/passwd | grep 사용자명(test1)'을 통해 확인해보면
홈디렉토리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'usermod'라는 명령어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.
'man usermod'라고 입력하고 아래와 같은 맨(man)페이지를 통해 원하는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.
사용자계정 삭제하기
사용자계정의 삭제는 'userdel' 명령어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옵션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우선 아무 옵션 없이 'userdel'을 사용해봅니다.
'# ls /home/' 명령어로 확인해본 결과 사용자(test1)의 홈디렉토리(/home/test1)은 삭제되지 않았습니다.
하지만 '/etc/passwd'파일에선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제 홈디렉토리(/home/test1)를 삭제하기 위해선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.
이번엔 'userdel -r' 명령어로 '-r' 옵션을 사용합니다.
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홈디렉토리(/home/test1)도 삭제되고,
'/etc/passwd' 파일에서도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!!
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선 'userdel -r' 명령어로 사용하는 것이 좋겠네요!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