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가상머신에서 '안드로이드 x86'으로 카카오톡하는 재미가 쏠쏠하네요~^^(PC로 카카오톡 구동 성공!!(PC와 스마트폰의 차이))
무엇보다 상대방의 터치패드를 무력화시키는 미칠듯한 키보드의 타자속도가, 모든 말싸움을 제압하는 재미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죠!!
안드로이드 x86(Android-x86)에는 세가지 부팅방법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저해상도의 HDPI, 고해상도의 MDPI 가 있고요,
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Debug mode가 있습니다.
저는 해상도가 높게 표시되는 MDPI로 부팅시키는데요, 문제는 기본이 HDPI라 시간안에 입력을 안하면 HDPI로 부팅되어 버리는 것이죠.
자, 그럼 수정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MDPI를 기본으로 수정하기
처음에 부팅할 때 선택하는 곳을 GRUB라고 합니다. 멀티부팅을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익숙한 부분이기도 하죠.
3번째 메뉴인 Debug mode 를 선택합니다.
명령어를 입력하는 창이 나오면,
를 입력합니다.
그럼 'vi 에디터'로 GRUB메뉴를 수정할 수 있는 파일인 'menu.lst'를 편집할 수 있게 됩니다.
'vi 에디터'는 쉽게 생각하면 단순한 메모장같은 텍스트편집기입니다만,
명령어나 사용하는 방식이 독특합니다.
글로 설명을 드리자면 'i'키로 입력모드로 변경해서,
default=0에서 default=1로 수정해주시고요.
':'를 입력 후, 'wq'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.
동영상 보고 따라하기
자, 성공하셨으면 위와같이 됩니다.
이제 재부팅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.
안드로이드를 실행시키고 화장실에 다녀올 수 있는 여유가 생겼군요!!!!^^
'다른 운영체제 > 다른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그놈3 ] 그놈쉘에서 아이콘, 테마 쉽게바꾸기 (2) | 2011.07.04 |
---|---|
[ 그놈3 ] 그놈쉘 확장 - 시스템감시 (0) | 2011.06.24 |
[안드로이드 x86] PC로 안드로이드(x86) 사용할 때 유용한 팁 (72) | 2011.06.09 |
[페도라 15] 그놈쉘(GNOME Shell)이 불편하다면??(부가기능 추가) (4) | 2011.06.08 |
[안드로이드 x86] PC로 카카오톡 구동 성공!!(PC와 스마트폰의 차이) (16) | 2011.06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