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이 글은 2011년 1월 중순, 파이어폭스4 beta9 일때의 설정과 글입니다. 최신글들을 참고해주세요!!
파이어폭스4 출시 - http://deviantcj.tistory.com/126
파이어폭스4 윈도우XP에서 하드웨어 가속 실험 - http://deviantcj.tistory.com/129
파이어폭스4, 크롬10 하드웨어 가속문제 - http://deviantcj.tistory.com/128
(※하드웨어 가속기능설정하는 방법은 이 포스팅이 맞지만 실제 적용은 다릅니다. 위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.)
현재 우분투에서 테마를 적용한 상태에서 확인해서
정확한 기본 외관은 알 수 없지만,
크롬처럼 전체적으로 페이지의 화면이 넓어지고 메뉴가 좁아져있구요.
탭들을 한번에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능도 추가되었더라구요.
(저는 원래 이 기능을 foxtab이라는 부가기능으로 썼었거든요.)
가장 기대를 받고 있는 것은 '하드웨어 가속' 부분입니다.
윈도우즈 에서는 Direct2D 로,
리눅스와 맥OS에서는 OpenGL 로 제공된다고 하는데요,
현재 리눅스에서는 일부 그래픽카드에서
'하드웨어 가속' 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하네요.
윈도우즈 에서는 Direct2D 로,
리눅스와 맥OS에서는 OpenGL 로 제공된다고 하는데요,
현재 리눅스에서는 일부 그래픽카드에서
'하드웨어 가속' 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하네요.
그래서 설치를 하더라도
기본값은 '하드웨어 가속' 을 사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습니다.
그럼 어떻게 '하드웨어 가속'을 셋팅할 수 있는지 가르쳐드릴게요~!!
1. 주소창에 about:config를 입력하고 들어갑니다
이때 창이 뜨면서 고급 설정 이용 동의하냐고 물어보는데
확인합니다.
2.
리눅스 사용자
필터 부분에 layer 라고 검색하고 layer.accelerate-all (혹은 layer.accelerate-force-enabled) 부분을
더블클릭해서 true로 만들어 줍니다.
필터 부분에 layer 라고 검색하고 layer.accelerate-all (혹은 layer.accelerate-force-enabled) 부분을
더블클릭해서 true로 만들어 줍니다.
윈도우 사용자
mozilla.widget.render-mode 를 찾아서 6으로 설정하고,
mozilla.widget.render-mode 를 찾아서 6으로 설정하고,
gfx.font_rendering.directwrite.enabled 도 역시 찾아서 더블클릭해서 true로 만들어 줍니다.
※(찾는 방법은 필터부분에서 리눅스 사용자가 layer로 검색했듯이 render정도로 검색하시면 나오겠네요~^^)
※(찾는 방법은 필터부분에서 리눅스 사용자가 layer로 검색했듯이 render정도로 검색하시면 나오겠네요~^^)
3. 그리고 파이어폭스의 전체창을 닫고 다시 실행시킵니다
(다시 실행 안시키면 적용이 안되요!!!)
4. 다시 주소창에 about:support 라고 입력합니다.
5. 맨 밑에 보면 그래픽이라는 부분에
GPU 윈도우 가속이 1/1 OpenGL이라고 나오면
설정상으론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
6. 마지막으로 제대로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http://demos.hacks.mozilla.org/openweb/HWACCEL/
들어가보셔서 하드웨어 가속을 설정했을때와 하지 않았을때의 fps 값을 확인해봅니다.
(fps는 높을수록 좋은 것입니다. 혹시 하드웨어 가속을 하였는데 낮게 나왔다면,
제대로 지원이 되지 않는 겁니다.)
'컴퓨터 일반 > 인터넷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 크롬 10 설치하고 동기화 시키기!!(자동업데이트 지원됩니다) (0) | 2011.03.11 |
---|---|
크롬 10, 크롬 9, 파이어폭스 3.6 속도 비교!! (2) | 2011.03.11 |
플래시(flash) 플러그인 충돌...왜 이러는건데?? (7) | 2011.03.09 |
인터넷 브라우저 속도 측정 - 얼마나 빠른지 체크해보세요!!!! (2) | 2011.01.18 |
파이어폭스(firefox)에 날개를 달아주자!-(추천 부가기능&사용법) (4) | 2011.01.06 |